반응형
웹 콘솔을 이용한 접속 방법
application.yml
- H2 DB를 인메모리 DB로 만들어준다.
spring:
h2:
console:
enabled: true
localhost:8080/h2-console/ 로 접속한다.
IDE 로그에 뜬 jdbc주소를 복사해서 페이지의 jdbc URL에 붙여넣어준다.
인텔리제이에서의 사용법
유료버전에서는 database기능에서 생성해주기만하면 사용가능한데.
커뮤니티 버젼은 지원을 하지 않는다.
이의 대체품으로 플러그인 Database Navigator 를 설치해준다.
몇가지 DB를 제공해주는데. H2는 없다.
jpa buddy 페이지에서 H2링크를 타고 H2를 설치한 후
https://www.jpa-buddy.com/documentation/database-connections/#database-connections
Database Connections
Introduction JPA Structure panel is responsible for everything related to DB configurations. To create a new DB connection, click on the “Plus” button and choose “DB Connection”. To use Reverse Engineering and Database Versioning features, the firs
www.jpa-buddy.com
.jar파일을 커스텀으로 하여 추가해준다.
대충 감으로 해보니 똑같진않아도 비슷하게 나마 제공해주는 듯하다.
반응형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could not find or load main class 해결 (0) | 2022.09.07 |
---|---|
[Speing] intellij Database Navigator mysql (0) | 2022.09.02 |
[Spring] 인텔리제이 swagger 에러 해결 (0) | 2022.08.23 |
[Spring] 네이버API활용 맛집검색 (0) | 2022.08.21 |
[Spring] Swagger (0) | 2022.08.19 |
댓글